Tag: 이혼소송
-
뉴욕 주 이혼 조정 상담 센터
이혼 조정(Mediation) – 법원을 거치지 않고 이혼할 수 있다. 이혼 조정법 상담 센터(이하 센터)는 자격을 갖춘 부부들이 법원에 가지 않고도 이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센터는 지역 법원, 법학대학, 그리고 비영리 단체들과 협력 관계를 맺어 무료 이혼 조정(Mediation)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혼 과정으로 인해 가족들이 겪어야 하는 고통, 외상, 혹은 비용을 줄여 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배우자 부양과 유지비
배우자는 서로를 돌보아 줄 책임이 있다 부부는 법적 혼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배우자(Spouse)는 남편이나 아내를 뜻한다. 만약 양측 모두 생존한 상태로 혼인 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한, 서로를 돌보아 줄 책임이 있다. 배우자 부양 (Spousal Support)이란? 만약 두 사람이 현재 결혼한 상태로 한 배우자가 다른 배우자에게서 재정적 지원을 받을 때, 그것을 배우자 부양(Spousal Support)이라고 부른다. 배우자…
-
가정 법원과 형사 법원의 차이
형사 소송 보호 명령(Criminal Order of Protection)과 가정 법원 보호 명령(Family Order of Protection) 가정 법원(Family Court)에 탄원서(Petition)를 접수한다고 해도, 형사 법원(Criminal Court)에서 검사(District Attorney)의 기소를 막을 방법은 없다. 가장 핵심적 내용은 본인의 의사나 의지와는 관계없이, 형사 법원으로 사건이 배당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경찰이 사건 현장에 출동해서 가해자(Abuser)를 체포했다면 사건은…
-
이혼 소송 미성년 자녀 관련 문제
부부 사이의 “혼인 관계 미성년 자녀”란? 이혼 소송에 있어 만약 미성년 자녀가 관련되어 있다면, 판사가 이혼 판결문(Judgment)에 서명하기 전 양육권(Custody), 방문 교섭권(Visitation), 그리고 양육비(Child Support)에 관한 문제들에 대한 양측의 합의가 필요하다. 다만 양측의 모든 자녀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혼인 관계 미성년 자녀(Children of the Marriage)”에게만 적용된다. “혼인 관계 미성년 자녀”라는 표현은 법적인 용어인데, 혼인 전이나…
-
뉴욕 주 이혼 소송 피해자들을 위한 주소지 비밀 보장 제도
가정 법원의 주소지 비밀 보장(Address Confidentiality) 제도 가정 법원(Family Court)에 사건을 진행 중인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이 본인의 주소를 알아내지 못하도록 주소지 비밀 보장(Address Confidentiality)을 요청할 수 있다. 비밀 보장의 의미는 주소 자체가 비밀에 부쳐져, 다른 사람에게 제공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 부분이 상당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각종 법원 문서에 주소가 쓰여 있고, 또 이 문서의…
-
친밀한 관계에서의 가정 폭력
가정 폭력의 다양한 모습 가정 폭력(Domestic Violence)이라는 것은 친밀한 관계(Intimate Relationship) 안에서 배우자(Partner)가 다른 배우자를 힘으로 제압하고 조정하고자 하는 일련의 행동들을 일컫는다. 가정 폭력은 성폭력(Sexual Assault) 혹은 물리적 학대(Physical Abuse)를 포함하지만, 이 두 가지 없이도 얼마든지 성립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가해자가 정서적 학대(Emotional Abuse), 경제적 학대(Economic Abuse), 협박이나 위협 등의 다양한 수법을 동원해서 피해자를 조정하고…